법(法)을 향한 묵상
상태바
법(法)을 향한 묵상
  • 한북신문
  • 승인 2023.08.09 08: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정덕( 논설주간·양주역사문화대학 교수)
홍정덕( 논설주간·양주역사문화대학 교수)

 

무릇 창공의 대가 울울히 엉켜 무거워지면 눈이나 비가 되어 지상으로 내려 대지를 적시고 대지의 습기가 열기에 증발하면 다시 하늘로 올라 구름으로 퍼지는 순환이 이루어지는데 그 순환을 통하여 만물이 생기를 얻고 그 순환으로부터 성장의 근본 동력을 얻으니 그 순환의 본질은 곧 물이며 물은 본질을 지켜 자연이 정해준 순리를 따라 흐르고 증발하고 내리고 모이며 생명을 키운다. 따라서 모든 문명은 강을 따라 발생하여 성장하였고 모든 생업은 결국 물을 얻고 그 물을 다스리는 데에서 성패가 갈렸다.

물은 본성을 따라 아래로 낮은 곳으로 흐를 뿐이니 바닥이 좁은 계곡에서는 급히 흐르고 너른 들에서는 천천히 가며 마른 날에는 땅 아래로 스며들어 식물의 뿌리를 적시지만 넘치면 흉폭해져서 땅을 깎고 범람하여 식물의 뿌리를 뽑게 된다. 따라서 예로부터 나라를 다스리는 자의 가장 기본 된 임무는 물을 다스리는 치수(治水)에 있었고 치수에 성공하는 것이 곧 다스림 성공의 척도가 되어 왔다

그러고 보니 치수, 정치에 공통으로 들어있는 치(治)는 대개 ‘다스린다’라고 해석하지만 그 본래 의미는 ‘물(水)을 달랜다(台)’는 의미로 ‘흐르는 물의 방향을 함부로 바꾸려 하거나 물이 지닌 본성을 ’거스르지 말라‘는 경고성 의미를 함유한다. 같이 쓰이는 법(法)역시 ‘물(水)이 잘 흐르(去)’도록 만들라는 뜻이니 곧 법은 ‘자연스러움을 더 자연스럽게’ 돕는 장치여야 한다는 뜻이 된다.

대한민국은 법에 의하여 통치되는 법치국가이다. 이는 즉 우리나라의 행정을 담당하는 자들은 그 행위가 법(法)과 치(治)에 구애되어야 한다는 뜻이니 모든 일을 순리에 따라야 한다는 것으로 국가 권력은 자연법적 규범으로 통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자연법에 따르면 법을 제정하는 입법권을 국회에 준 것은 국민이다. 태어나면서부터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아무에게도 양여할 수 없는 자연법적 권리의 일부를 공동체의 유익을 위하여 저들에게 일정 기간, 일정범위에 한정하여 위임해 준 것 뿐이니 그 입법 권력의 본질적 귀속은 국민에게 있다. 따라서 입법권을 위임받은 자들은 물 흐르듯, 물 달래듯 당연한 순리를 따라 심의하여 공동체에 유익한 법을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작금의 상황은 아무리 살펴도 이 순리안에 있는 것 같지가 않다.

진영의 논리와 권력의 향방만을 좇아 오로지 패거리의 이익만을 추구하여 심지어는 절차도 무시한 채 법을 함부로 만들고 있다. 한, 두 가지인가. 다수가 되었던 소수가 되었던 법 제정에 반대하는 의견이 있으면 당연히 그 의견을 듣고 또 듣고 설득하고 소통하며 모두가 동의하는 최대한의 합일을 도모하는 것이 입법권자가 지녀야 할 기본자세 아닌가?

놀랍기는 이 법을 만들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것을 뻔히 알면서도 심지어는 그렇게 거부하도록 유도하려 법 만들기를 강행한다는 소문도 들리는 판이다. 법이 흔들리면 기본이 흔들리고 공동체도 흔들린다. 그리고 결과에 대하여 반드시, 엄중하게 책임을 묻는 것이 바로 역사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