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出兵 문제를 白面書生들과 상의하십니까
상태바
왜 出兵 문제를 白面書生들과 상의하십니까
  • 김종식
  • 승인 2015.11.27 09: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종식 한국민간조사 학술연구소장


중국 남북조(南北朝)시대 송나라 4대 황제인 효무제(孝武帝)가 숙적인 북위(北魏)라는 나라를 침략할 생각으로 총사령관인 심경지(沈慶之)를 불러 출병의향을 물었다.

이에 심경지는 ‘여러 경험과 정세로 보아 아직 우리 송나라는 북위를 이길 수 없다’는 답변으로 북벌(北伐)을 만류하였으나 황제는 북위를 빼앗고 싶은 욕심에 전쟁터라고는 한번도 나가보지 않은 문신(文臣)들에게까지 의견을 물으며 출병 야심을 거두지 않았다.

이를 지켜 본 총사령관 심경지는 황제에게 "밭일은 농부에게 맡기고(耕當問奴) 바느질은 아낙에게 맡겨야(織當問婢)하는 법인데, 어찌 나라의 출병(出兵) 문제를 백면서생(白面書生)들과 상의하십니까"라고 충고했다. 그러나 효무제는 심 장군의 진언에 따르지 않고 문신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출병했다가 치욕스런 대패를 맛보았다는 중국 송서(宋書) 심경지전(沈慶之傳)의 기록은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큰 교훈이 되고 있다.

이렇듯 세상사에는 분야마다 전문가가 있기 마련이며, 어떤 문제를 해결함에는 무엇 보다 해당 전문가의 진단과 처방이 일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어떤 사람이건 한 사람이 모든 영역의 일에 만능 일 수는 없다. 처음부터 전문가인 사람도 없다. 따라서 잘 모르는 분야는 보다 나은 전문가에게 물어 행함으로써 또 다른 전문가로 태어나는 것이다.

공부를 잘하는 사람이 질문을 하듯이 전혀 모르는 사람은 물을 수 조차 없다. 물음은 부족함의 표현이 아니라 채움을 의미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는 아직도 전문성이 있는 사람에게 물어야 할 일이 적잖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나이가 많으니까, 내가 지위가 높으니까, 내가 학벌이 좋으니까, 내가 고참 이니까 라는 등의 권위주의적 사고와 자만에 젖어 모르는 것도 아는 체 일방적으로 행하거나 그저 자신에게 충복스런 측근이나 호락호락한 편의주의자들과 논의하기를 즐김으로써 업무의 효율과 조직발전을 저해하는 경우가 한둘이 아님을 잘 알고 있다.

모르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모르면서도 묻지 않음과 묻되 비능률적인 사람에게 형식적으로 묻거나 전문가로부터 조언이나 자문을 받고도 자신의 유·불리나 체면을 따져 행하지 않음이 더 부끄럽고 위태한 일이다.

물음과 채움을 올바르게 실행할 때 어느덧 우리 모두는 전문가(專門家)가 되어 스스로 결단(決斷)하거나 많은 사람들에게 반듯한 방도(方道)를 제시 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지도자의 조건’을 갖추게 될 것이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