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를 통한 경기북부의 발전방향
상태바
문화를 통한 경기북부의 발전방향
  • 논설위원 김환철
  • 승인 2011.08.25 16: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환철(경민대 자치행정과 학과장,경기북부정책개발연구원장)
어떤 사람이 우리의 경기북부지역에 대하여 ‘군사지역인가 아니면 문화지역인가?’ 라고 질문을 던진다면 이는 매우 어리석은 질문일 수 있다. 과거 60여년 동안 국가방위라는 신성한 의무를 이행하고 있는 경기북부지역에 사실 문화라는 단어 자체가 생소하고 사치스럽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방화시대의 새로운 도래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특히 문화를 통한 지역 발전전략은 지방의 고유성을 발전시킨다는 점에서 각 자치단체마다 지대한 관심사이며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 경기북부지역이 문화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지역재생의 방법론 개발의 관점에서 몇 가지를 제안해 본다.

첫째, 문화정책에 대한 자치단체의 전면적인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즉, 경기북부지역의 주요도시들이 근·현대사적인 멍에라 할 수 있는 군사도시의 이미지를 훌훌 벗어 던지고 새롭게 태어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문화정책에 대한 획기적인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현재적 입장에서 경기북부지역의 문화정책을 진단해 본다면 지역실정을 감안한 지역축제(회룡문화축제 등)와 약간의 이벤트 및 문화자원을 활용한 일부의 경영수익활동과 계획이 대부분이며, 새롭게 재해석되거나 전국적인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체계적 문화정책은 찾아보기 힘들다. 지금부터라도 지역의 문화자원이라 할 수 있는 전통예술이나 문화시설, 유무형의 문화유산, 오픈 스페이스를 포함한 자연환경, 오락이나 음식, 공예 등을 재해석하고 재창조할 수 있는 특별한 문화정책의 수립과 실천전략을 주문하고 싶다.

둘째, 문화에 대한 장기적 투자와 더불어 각각의 자치단체 실정에 맞는 정교한 방법론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즉,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차이를 인정하고 각각이 갖고 있는 고유성을 특별성과 조화시키는 세심한 문화정책의 접근론 개발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문화주도형 정책과 통합형 정책과 문화참여형 정책 중 어느 곳에 초점을 두고 개발해야 할 것인지의 연구가 거시적인 시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문화주도형의 경우는 기존의 도심문화가 발달한 의정부시 등에 적합한 정책으로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을 통한 지역발전 사례 등 수많은 성공사례가 있다. 미술관 등 문화시설의 지속적인 건립과 동시에 대형 이벤트(Mega Event)를 유치하여 도시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상대적으로 문화유산이 풍부한 양주시나 포천시의 경우에는 문화지구, 문화산업 클러스터 등의 물리적인 기반을 만드는 정책이 더욱 필요할 것이며, 상대적으로 자연환경이 뛰어난 연천군의 경우는 구석기문화축제나 DMZ를 활용한 문화참여형 정책이 훨씬 효과가 높을 수 있다. 동두천시 역시 미군기지 이적지에 대한 문화적 개발과 더불어 소요산 등의 자연환경을 최대한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에서 언급한 실천전략은 하나의 사례로서, 경기북부지역은 문화라는 관점에서 보면 수도권의 편리한 접근성의 장점보다 군사도시로서의 부정적 이미지가 더욱 크다는 현실적인 문제 극복이 향후 문화정책의 과제라 할 수 있다.

얼마전 장욱진화백의 미술관이 양주시에 건립된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러면서 가장 필요성이 제기되는 인구 45만의 의정부시는 왜 그럴듯한 미술관 하나 없는지 가슴이 답답하다. 문화는 “먹고, 생활하고, 사교하는 ‘생활양식의 총체’라 할 수 있다. 이제는 지역발전을 위하여 이러한 문화를 하나의 상품으로 생각하고, 우리가 지니고 있는 문화적 요소에 경제적 요소가 결합된 문화상품으로 재창조해야 할 것이며, 그 주체의 핵심은 지방자치단체에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주요기사